사물인터넷(IoT)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 한국과 미국의 대응 비교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은 가전제품, 차량, 웨어러블 디바이스, 의료기기 등 다양한 물리적 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사용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공유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편리함과 자동화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용자의 행동 정보, 위치, 건강 상태 등 고도로 민감한 정보를 무의식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큽니다. 한국과 미국은 IoT 기술 확산에 적극적인 국가들이지만, 이러한 기술이 개인정보와 충돌하는 지점에 대해 서로 다른 규제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양국의 IoT 관련 개인정보 보호 정책과 실무적 대응 전략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IoT 기술은 고위험 정보 수집을 전제로 합니다.IoT 기기는 센서, 네트워크, 클..
2025. 7. 6.
안면 인식 기술 – 한국과 미국의 프라이버시 기준 차이점
안면 인식 기술(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FRT)은 보안, 마케팅, 출입 통제, 공공 감시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급속히 확산하고 있는 기술입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개인의 얼굴이라는 고도로 민감한 생체 정보를 수집·분석한다는 점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매우 크며, 각국은 이를 규제하는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특히 한국과 미국은 기술 도입 속도는 유사하지만, 법적 규율과 사용자 권리 보장에 있어 전혀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안면 인식 기술 관련 프라이버시 기준을 비교하고, 실무적으로 어떤 차이를 주의해야 하는지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한국은 안면 인식 정보를 ‘민감정보’로 분류하고 있습니다.한국에서는 얼굴 이미지, 홍채, ..
2025. 7. 6.